상단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모바일 메뉴
KCE Korea Childcare Evaluation
닫기
모바일 검색창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선택
  • 선택
  • 2-1 열기 닫기 Q 2-1

    보육실 내 필수적으로 마련해야 하는 놀이영역이 있나요?

    A

    문의하신 내용은 '2-1. 영유아의 놀이를 위한 공간 구성 및 운영'에 해당합니다.
    교사는 영유아가 좋아하는 놀이를 중심으로 공간을 구성하고, 영유아들이 흥미를 보이지 않는 영역은 다른 영역과 통합하여 재구성하거나 다른 영역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평가항목에서 보육실에 필수적으로 마련해야 하는 놀이영역을 별도 제시하고 있지 않으며, 영유아가 주도하는 놀이영역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참고적으로 놀이영역 뿐 아니라, 영유아가 휴식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영유아의 놀고자 하는 요구와 쉬고자 하는 요구를 모두 지원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2024 개정 어린이집 평가지표(2024.7.3. 시행)’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 어린이집 평가와 관련한 다양한 질의응답 사례를 확인하고 싶으신 경우, 진흥원 홈페이지 내 <묻고 답하기 사례> 게시판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묻고 답하기 사례' 게시판 바로가기]

    위치 2. 영유아가 주도하는 배움 지원 하위 2-1. 영유아의 놀이를 위한 공간 구성 및 운영
  • 2-1 열기 닫기 Q 2-1

    영유아의 놀이 또는 활동 기록을 필수적으로 게시해야 하나요?

    A

    문의하신 내용은 '2-1. 영유아의 놀이를 위한 공간 구성 및 운영'에 해당합니다.  영유아의 놀이 또는 활동 기록을 활용하여 보육실이나 복도, 실외 공간 등에 전시하는 경험은 새로운 놀이를 활성화하고, 영유아가 자신의 놀이와 활동을 다시 보고 또래의 놀이에도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됩니다. 해당 평가항목에서 영유아의 놀이 혹은 활동에 대한 기록을 활용하여 실내외 공간을 구성하였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어린이집에서는 영유아의 놀이 또는 활동 기록은 교사가 게시할 수도 있지만, 영유아와 교사가 함께, 혹은 영유아 스스로 자신의 그림, 작품 등을 자유롭게 전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 

    * 본 내용은 ‘2024 개정 어린이집 평가지표(2024.7.3. 시행)’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 어린이집 평가와 관련한 다양한 질의응답 사례를 확인하고 싶으신 경우, 진흥원 홈페이지 내 <묻고 답하기 사례> 게시판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묻고 답하기 사례' 게시판 바로가기]

    위치 2. 영유아가 주도하는 배움 지원 하위 2-1. 영유아의 놀이를 위한 공간 구성 및 운영
  • 2-2 열기 닫기 Q 2-2

    다름을 존중하는 활동 자료(성, 신체적 특성, 종교 등)는 필수적으로 마련해야 하나요?

    A

    문의하신 내용은 '2-2. 배움을 위한 자료 제공'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해당 평가항목에서는 영유아가 다름을 틀린 것이 아니라, 자신과 다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영유아의 연령별 발달특성을 고려하여 2세 이상 반부터 성, 신체적 특성, 장애, 종교, 가족 및 문화적 배경의 다름을 존중하는 놀이 및 활동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반별로 구비하기 어려운 경우 공동놀이실에 비치하여 영유아들이 놀이하며 다름을 존중하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

    * 본 내용은 ‘2024 개정 어린이집 평가지표(2024.7.3. 시행)’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 어린이집 평가와 관련한 다양한 질의응답 사례를 확인하고 싶으신 경우, 진흥원 홈페이지 내 <묻고 답하기 사례> 게시판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묻고 답하기 사례' 게시판 바로가기]

    위치 2. 영유아가 주도하는 배움 지원 하위 2-2. 배움을 위한 자료 제공
  • 2-2 열기 닫기 Q 2-2

    보육실에 상시적으로 비치해야 하는 자료가 있나요?

    A

    문의하신 내용은 '2-2. 배움을 위한 자료 제공'에 해당합니다.
    영유아가 놀이에 사용할 수 있는 놀잇감, 매체, 재료와 도구, 자연물, 자연현상(빛, 그림자, 눈, 비 등), 놀이 방법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은 일상의 물건 등이 영유아의 놀이자료가 됩니다. 이에 어린이집에서는 영유아의 배움을 지원하는 풍부하고 매력적인 놀이 및 활동자료를 제공하고, 영유아의 놀이 및 활동과 연계한 자료를 제공해야 합니다. 다만, 문의하신 내용과 같이 어린이집 평가지표에서 상시적으로 비치해야 하는 놀이자료를 별도 정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참고적으로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별표1 '어린이집의 설치기준'에 보육실에 침구, 놀이기구 및 쌓기놀이활동, 소꿉놀이활동, 미술활동, 언어활동, 수학·과학활동, 음률활동 등에 필요한 교재·교구를 갖추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 관련 자료 등을 포함한 다양한 놀이 자료 등을 보육실에 비치하여 영유아의 놀이를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본 내용은 ‘2024 개정 어린이집 평가지표(2024.7.3. 시행)’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 어린이집 평가와 관련한 다양한 질의응답 사례를 확인하고 싶으신 경우, 진흥원 홈페이지 내 <묻고 답하기 사례> 게시판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묻고 답하기 사례' 게시판 바로가기]

    위치 2. 영유아가 주도하는 배움 지원 하위 2-2. 배움을 위한 자료 제공
  • 3-1 열기 닫기 Q 3-1

    보조교사, 연장반 교사도 평가당일 상호작용 관찰 시 평정 대상에 포함되나요?

    A

    현장평가 시 '상호작용 관련 평정 대상'은 관찰반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평정합니다. 다만, 평가 당일 담임교사 외의 교사, 원장 등이 영유아를 존중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할 경우 평정에 반영될 수 있습니다.

    * 본 내용은 ‘2024 개정 어린이집 평가지표(2024.7.3. 시행)’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 어린이집 평가와 관련한 다양한 질의응답 사례를 확인하고 싶으신 경우, 진흥원 홈페이지 내 <묻고 답하기 사례> 게시판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묻고 답하기 사례' 게시판 바로가기]

    위치 3. 영유아 존중 상호작용 지원 하위 3-1. 교사와 영유아의 반응적 상호작용
  • 3-1 열기 닫기 Q 3-1

    영유아가 교사의 예상이나 계획과 다르게 놀이할 때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A

    문의하신 내용은 '3-1 교사와 영유아의 반응적 상호작용'에 해당합니다.
    영유아는 어린이집에서 놀이와 활동, 일상생활 등을 통해 능동적으로 배울 수 있는 유능한 존재입니다. 주도적으로 놀이하며 배우는 영유아의 유능함을 인정하고, 교사는 영유아의 놀이를 기다리고 지켜보며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 이해 자료'에서도 교사의 예상과 다르게 놀이를 하더라도 영유아의 놀이를 인정할 것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교사의 계획은 영유아의 놀이를 확장하기도 하지만 제한하기도 하므로 영유아에게 놀이의 주도권을 넘겨주고, 영유아의 놀이를 따라가 볼 것을 안내하고 있는 점 등을 참고하시어, 영유아가 주도하는 놀이를 기다리고 지켜보며 지원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2024 개정 어린이집 평가지표(2024.7.3. 시행)’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 어린이집 평가와 관련한 다양한 질의응답 사례를 확인하고 싶으신 경우, 진흥원 홈페이지 내 <묻고 답하기 사례> 게시판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묻고 답하기 사례' 게시판 바로가기]

    위치 3. 영유아 존중 상호작용 지원 하위 3-1. 교사와 영유아의 반응적 상호작용
  • 3-1 열기 닫기 Q 3-1

    놀이에 참여하지 못하고 배회하거나 방관하는 영유아가 있을 경우 어떻게 지원해야 할까요?

    A

    문의하신 내용은 '3-1 교사와 영유아의 반응적 상호작용'에 해당합니다.
    교사는 영유아의 놀이 참여를 살펴보고 영유아가 놀이에 참여하지 못하고 배회하는 경우 놀이를 안내하는 등 개별적인 상호작용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oo아, 밀가루 반죽이 아주 부드러운데 한번 만져볼까?", (손 인형을 이용하여)"oo아 오늘 원숭이가 그려진 옷을 입고 왔구나, 우리반에 원숭이 인형이 어디 있는지 찾아볼까?" 등 영유아가 놀이에 자발적인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아의 경우에는 또래가 하고 있는 놀이나 활동에 대해 안내하고 참여 의사를 확인하거나 또래가 하고 있는 놀이에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역할을 권유할 수 있습니다.
    영아의 경우 영아가 흥미를 가질 만한 놀잇감이나 활동자료를 탐색해 볼 수 있도록 권유하거나, 교사가 영아가 할 수 있는 놀이의 모델링을 하여 영아가 놀이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   
    다만, 배회하거나 방관하는 것이 아니라 쉬고 싶어서 놀이하지 않는 영유아가 있다면, 억지로 놀이를 권하지 않고 편안히 쉴 수 있도록 지원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2024 개정 어린이집 평가지표(2024.7.3. 시행)’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 어린이집 평가와 관련한 다양한 질의응답 사례를 확인하고 싶으신 경우, 진흥원 홈페이지 내 <묻고 답하기 사례> 게시판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묻고 답하기 사례' 게시판 바로가기]

    위치 3. 영유아 존중 상호작용 지원 하위 3-1. 교사와 영유아의 반응적 상호작용
  • 3-1 열기 닫기 Q 3-1

    영아반 점심식사 전, 손유희를 하는 건 대집단 활동에 속하나요?

    A

    문의하신 내용은 '1-1. 일과의 충실한 운영' 및 '3-1. 교사와 영유아의 반응적 상호작용'에 해당합니다.
    대집단 활동이란, 교사가 의도적으로 영유아를 불러 모아 이야기 나누기, 안전교육 등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 영아의 경우 급속히 발달하는 시기로 개인 간 발달 차가 크고, 집중 시간이 짧으므로, 의도적인 대집단 활동은 실시하지 않아야 합니다. 
    의도적인 대집단 활동은 영유아에게 자발적 선택을 격려하지 않고 교사가 특정 활동을 하도록 지시 또는 제한하거나, 활동 방법을 일방적으로 결정하여 진행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따라서 급식시간 시 발달수준을 고려한 동화 읽어주기, 손유희, 노래 부르기 등의 활동은 짧은 시간 동안 진행할 수는 있으나, 해당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에는 놀이시간 등을 운영하여 편안하게 일과를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본 내용은 ‘2024 개정 어린이집 평가지표(2024.7.3. 시행)’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 어린이집 평가와 관련한 다양한 질의응답 사례를 확인하고 싶으신 경우, 진흥원 홈페이지 내 <묻고 답하기 사례> 게시판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묻고 답하기 사례' 게시판 바로가기]

    위치 3. 영유아 존중 상호작용 지원 하위 3-1. 교사와 영유아의 반응적 상호작용
궁금한 점이 더 있으신가요?
여기로 문의해주세요!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45, 주연빌딩 3,4,5,6층(서계동) 04303
Copyright© The office for Korea Childcare Promotion Institute, All Right Reserved

고객상담전화 02.6901.0100 평일 : 09: 00 ~ 18:00 공휴일 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