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어린이집 셀프모니터링
보육과정 운영을 위한 셀프모니터링이란?
보육과정 운영을 위한 셀프모니터링(이하 ‘셀프모니터링’)은 보육교사가 스스로 자신의 보육 실천을 점검하고 변화시켜 좋은 보육교사로 성장하도록 돕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즉, 보육교사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교사가 자율적으로 자신의 보육 실천을 돌아보고 성찰하여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보육교사는 셀프모니터링을 통해 ‘영유아 중심’, ‘놀이 중심’의 제4차 표준보육과정의 중점 및 교실에서의 보육과정 편성‧운영과 교수‧학습의 내용을 알고 자신의 반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을 높일 수 있습니다.
셀프모니터링을 실행하면서 자기를 돌아보고 새로운 실천을 시도하는 경험을 반복하며 보육교사로서의 신념과 자신감을 북돋울 수 있기를 바랍니다.
셀프모니터링 구성
보육과정 운영을 위한 셀프모니터링 실천사항은 다음과 같은 7개 범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7개의 범주는 다시 28개의 하위범주로 구분되며, 각 하위범주는 보육과정을 운영하면서 실천해야 하는 10개 내외의 실천사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실천사항 응답에 따라 이를 지원하기 위한 멘토링이 제공됩니다. 멘토링은 [더 알아보기], [더 나아가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상, 읽을거리, 그림책, 해볼 거리 등 다양한 자료가 제공됩니다.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
- 01. 개별적 특성을 지닌 고유한 존재로 인정하기
- 02. 민감하고 주의깊게 대하기
- 03. 따뜻하고 부드럽게 대하기
- 04. 기다리기
- 05. 격려하기
- 06. 풍부한 감성 공감하기
- 07. 영유아의 말, 행동, 생각등을 인정하기
- 08. 긍정 언어 사용하기
- 09. 차별하지 않기
영유아 사이의 소통 존중
- 10.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기
- 11. 또래 간에 놀이를 공유하도록 격려하기
- 12. 스스로 약속과 규칙을 만들고 지키도록 격려하기
- 13. 다툼이나 문제를 또래간 해결하도록 격려하기
놀이지원
- 14. 놀이의 자유로움 알기
- 15.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놀이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 16. 충분한 놀이 시간 제공하기
- 17. 영유아 놀이에 즐겁게 참여하기
- 18. 놀이와 연계되는 활동 지원하기
놀이자료와 공간지원
- 19. 놀이자료 지원하기
- 20. 교실 공간 구성하기
관찰과 기록을 통한 배움 이해
- 21. 영유아 놀이 관찰과 보육일지 기록하기
- 22. 영유아의 배움 이해하기
- 23. 보육일지 활용하기
일상생활 지원
- 24. 편안하게 생활하기
- 25. 즐겁게 먹기
- 26. 정리 정돈 이해하기
보육 계획 수립
- 27. 인간상, 목적, 목표 연계하여 계획 수립하기
- 28. 영유아의 흥미와 요구, 놀이 반영하여 계획 수립하기
셀프모니터링 이용 방법
- 홈페이지(www.kcpi.or.kr/self)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합니다.
- 28개의 하위범주 중 궁금한 것을 (순서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선택합니다.(하위범주는 스스로 성찰하며 실행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기 위해 하루에 최대 2개까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선택한 하위범주에 제시된 실천사항을 하나씩 읽고 응답합니다. (‘그렇지 않다’, ‘그렇다’, ‘항상 그렇다’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 모든 실천사항에 응답한 후 ‘제출’ 버튼을 누르면 응답에 따라 멘토링이 제공됩니다.
- 모든 하위범주에 응답을 제출하면 셀프모니터링이 완료됩니다. 셀프모니터링은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보육 실천의 변화를 위해서는 1학기당 1회(연간 2회) 실행을 권장합니다.
셀프모니터링
- Q 왜 하루에 2개의 하위범주만 선택할 수 있나요? 더 많이 할 수는 없나요?
-
A. 보육교사는 셀프모니터링의 실천사항을 천천히 살펴보며 응답해보고, 응답 결과에 따라 제공되는 멘토링의 내용을 보육의 실제에 충분히 반복하여 적용해 보면서 스스로 좋은 교사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위범주는 하루에 2개까지 선택할 수 있으며, 보다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자기를 돌아보기 위해 일주일에 2개의 하위범주만 선택하여 진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Q 어떤 문항을 관심 문항으로 저장하면 좋을까요?
-
A. 셀프모니터링 과정에서 한 번 더 살펴보면서 그 의미를 생각해 보고 싶거나 실제 보육과정 운영 시 개선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 하는 내용, 답하기가 모호했던 내용 등을 관심 실천사항으로 저장하면 되며 저장한 관심 실천사항은 ‘결과조회-관심실천사항 관리’에서 볼 수 있습니다.
- Q 셀프모니터링은 어린이집 평가제와 어떤 관련이 있나요?
-
A. 셀프모니터링은 어린이집 평가영역 중 ‘보육과정 및 상호작용’의 지표와 관련됩니다. 보육교사는 셀프모니터링을 활용하면서 자연스럽게 보육과정 지표를 더 깊이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 Q 셀프모니터링은 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요?
-
A. 셀프모니터링은 상시적으로 보육의 질을 관리하기 위하여 제작되었으나, 평가제 준비를 위해 셀프모니터링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천사항의 내용이나 결과를 중심으로 동료 교사들과 보육과정 운영과 영유아 상호작용 시 어려운 점들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