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홈
열린경영
>ESG 경영
>추진체계
추진체계
한국보육진흥원은 ESG 경영의 실행력 제고를 위하여 추진체계와 전담조직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ESG 추진체계
- 2025년 한국보육진흥원 ESG경영 추진 체계
- 비전
- 대한민국의 내일을 키우는 영유아 정책 HUB 기관
- 핵심가치
- 영유아 중심
- 통합
- 포용
- 혁신
- 2029 경영 목표
- 믿고 맡길 수 있는 영유아 교육·보육기관
- 함께 성장하는 영유아 교사
- 부모가 체감하는 종합적 양육지원
- 지속가능한 책임경영
- ESG 비전
- 지속가능한 보육환경과 투명한 경영을 실현하는 ESG 선도기관
- 중장기 로드맵
- 정착기(23년~24년)
- ESG 전담조직 운영 및 내재화
- ESG 공시기반 마련
- 확산기(25~26년)
- ESG 전사 참여 및 관리 강화
- 소통 기반 ESG 체계 운영
- 선도화기(27~28년)
- 기관 특화 ESG모델 정착
- 대외 ESG 네트워크 구축
- 정착기(23년~24년)
- 슬로건
- 모두가 (E)이로운 (S)세상 (G)같이 가꾸는 KCPI
- 전략목표
-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친환경(E) 경영 실천
- 행복 증진을 위한 사회적 가치(S) 창출
- 투명·청렴을 선도하는 혁신경영체계(G) 운영
- 전략과제
-
- E-1.체계적인 환경경영시스템 구축·운영
- E-2.환경보호 인식 확산 및 친환경 조직문화 구축
- E-3.業 연계형 친환경실천 문화 확산
-
- S-1.공정기회 제공 및 존중 문화 확산
- S-2.안전하고 행복한 보육·근무환경 조성
- S-3.상생 기반 사회적 가치 실현
-
- G-1.국민과 소통하는 투명경영 강화
- G-2.이사회 역할 내실화로 책임경영 강화
- G-3.청렴·반부패 중심 윤리 경영 강화
-
- 실행과제
- 환경보호를 위한 대내외 친환경 실천 노력과 성과 등 8개
-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전사적 노력과 성과 등 12개
- 이해관계자 소통강화를 통한 윤리경영 노력과 성과 등 8개
- P-D-C-A
- P(계획)
- 기관장 의지 표명
- 범위(부서, 사업 등)결정
- 역할, 자원 분담
- D(실행)
- 교육 및 훈련
- 추진체계 운용
- 관리 및 문서화
- C(점검)
- 모니터링
- 문제점 발견 및 조치
- A(개선)
- 조직 차원 문제 해결
- 이슈 관리
- 지속 모니터링 및 개선
- P(계획)
- 주체/시기
- 주관부서(연간)
- 주관부서(상시), 실행부서(상시)
- 경영전략회의(상시), 실행부서(분기), ESG 위원회(분기)
- 주관부서(상시), 실행부서(필요시)
- 성과 점검 및 환류체계
- 성과 모니터링
- [상시] 녹색제품 구매 관리
- [연간] ESG 환경지표 모니터링
- 성과평가 및 결과 분석
- [주간] 경영전략회의
- [분기] ESG 위원회
- 환류 및 확산
- [연간] 차년도 사업계획 반영
- [연간] ESG 관련 공시
- 성과 모니터링
ESG 추진 조직
ESG 경영 추진조직
- (외부)의결·자문주체
- 이사회(최고 의결기구):ESG 추진체계 보고
- ESG위원회(심의·의결, 감독·자문):ESG체계 심의·의결, 실적 감독·자문
- 부모소통위원회(자문):ESG활동 컨텐츠 자문
- (내부)3선 관리주체
- 1선(소관부서) 추진과제 이행 및 관리
- 추진 과제 실행
- 의견 및 실적 제출
- 상시 모니터링 및 미달성과제 달성 노력 등
- 2선(주관부서)ESG 경영 총괄
- 추진체계 수립
- 모니터링 체계 분기별 운영 및 이행 촉구
- ESG 위원회 운영 등
- 3선(경영전략회의)
- 전략 조정
- 전사 커뮤니케이션 지원
- 예산·자원 배분 심의
- 성과·리스크 관리 등
- 1선(소관부서) 추진과제 이행 및 관리
외부 위원
| 주체 | 구성 | 운영주기 | 방식 | 주체 |
|---|---|---|---|---|
| ESG 위원회 | 내·외부 전문가 7인 | 연 2회(3분기, 4분기), 필요 시 수시 운영 | 대면·비대면 | ESG 체계에 대한 심의·의결 |
| 부모소통위원회 | 어린이집·유치원에 취학중인 미취학 자녀 부모 6인 등 10인 | 분기별 1회 이상, 필요 시 수시 운영 | 대면·비대면 | ESG 경영 실현을 위한 아이디어 제안 |
ESG 추진체계 수립 및 모니터링 절차
| 단계 | 내용 | 주체(외부) | 주체(내부) |
|---|---|---|---|
| 의견 수렴 | 부서별 ESG 추진과제 및 지표 설정 | 소관부서 | |
| 의견 수렴 | 외부 이해관계자로부터 KCPT ESG 실현을 위한 아이디어 자문 수렴 | 부모소통위원회 | |
| 계획 수립 | 2025년 ESG 경영혁신 추진체계 계획(안) 수립 | 주관부서 | |
| 심의·의결 | ESG위원회 등 외부전문가를 통한 자문, 심의·의결 | ESG 위원회 | |
| 중간점검 및 모니터링 | 소관부서별 실적 점검, 미달성 과제 달성 계획 작성 | 소관부서→주관부서 | |
| 중간점검 및 모니터링 | 실적 현황에 대한 외부 전문가 자문 | ESG 위원회 | |
| 중간점검 및 모니터링 | 외부 전문가 자문의견 소관부서 전달 및 이행 촉구 | 주관부서→소관부서 | |
| 중간점검 및 모니터링 | 미달성 과제 이행 노력 | 소관부서 | |
| 최종점검 및 모니터링 | 소관부서별 실적 점검, 미달성 과제 달성 실적 작성 | 소관부서→주관부서 | |
| 최종점검 및 모니터링 | 실적 현황에 대한 외부 전문가 자문 | ESG 위원회 | |
| 최종점검 및 모니터링 | 최종 결과 공유 및 ESG 위원회 의견 차년도 반영 | 주관부서 |
